7. 직장인 · 근로자 실무 정보/· 퇴직금 계산법

퇴직금 계산법 총정리! (2025년 기준)

지원금_박사 2025. 4. 1. 11:33

퇴직금 계산법 총정리! (2025년 기준)

퇴직금은 일정 기간 이상 근무한 근로자가 퇴직할 때 받을 수 있는 중요한 금액입니다. 오늘은 퇴직금 계산법, 지급 조건, 신청 방법 등을 쉽게 정리해볼게요!

 



---

✅ 퇴직금 지급 조건

퇴직금을 받으려면 아래 조건을 충족해야 합니다.

퇴직금 지급 조건



🔹 1년 미만 근무자, 주 15시간 미만 근무자는 퇴직금을 받을 수 없습니다.


---

📌 퇴직금 계산법 공식

퇴직금은 다음 공식으로 계산됩니다.

> 퇴직금 = 1일 평균임금 × 30 × (재직기간 ÷ 365)



1일 평균임금 계산법

1일 평균임금은 퇴직 전 3개월간 받은 총급여 ÷ 90일로 계산합니다.

평균 임금계산에 포함항목과 제외항목



---

📝 퇴직금 계산 예시

📍 예시 1) 2년 근무한 직장인의 퇴직금

· 최근 3개월 총 급여: 900만 원

· 1일 평균임금: 900만 원 ÷ 90일 = 10만 원

· 퇴직금 계산: 10만 원 × 30 × (2년 ÷ 1년) = 600만 원


📍 예시 2) 3년 6개월 근무한 직장인의 퇴직금

직장인 퇴직급 예시


---

💰 퇴직금 지급 기한 & 신청 방법

✔ 퇴직 후 14일 이내에 지급해야 함
✔ 회사가 지급하지 않으면 고용노동부에 신고 가능
✔ 신고 후에도 지급하지 않으면 연 20% 지연이자 발생

 

🔹 퇴직금 미지급 신고 방법

1. 고용노동부 홈페이지에서 온라인 신고

2. 가까운 고용노동부 지청 방문 후 신고서 제출

3. 회사가 지급 거부할 경우 법적 조치 가능




---

 


📌 퇴직금 관련 Q&A

 


Q1. 퇴직금이 세금 부과 대상인가요?
✔ 네, 하지만 일정 금액까지는 비과세 적용됩니다.

Q2. 계약직, 아르바이트도 받을 수 있나요?
✔ 1년 이상 근무 + 주 15시간 이상이면 가능합니다.

Q3. 퇴직금 중간 정산 가능할까요?
✔ 원칙적으로 불가능하지만, 주택 구입, 장기 요양비 필요 시 예외 허용


---

 


🔗 퇴직금 계산기 활용하기

 

고용노동부 퇴직금 계산기 → 고용노동부 홈페이지

퇴직금을 미리 계산해보고 싶다면, 퇴직금 계산기를 이용해보세요!  😊

📌퇴직금 계산기 바로가기 링크 

https://labor.moel.go.kr/cmmt/calRtrmnt.do

 

퇴직금 계산 < 고용노동부 노동포털

행추가 행삭제

labor.moel.go.kr