8. 직장인 · 근로자 실무 정보/· 실수령액 계산하기

2025년 실수령액 계산하기! 월급 세금 계산 방법 총정리!

지원금_박사 2025. 4. 2. 11:59

실수령액 계산하기 – 월급에서 실제로 받는 금액은?

 

직장인이 한 달 동안 열심히 일하고 받는 월급! 그런데 통장에 찍히는 금액은 계약서에 적힌  "연봉 ÷ 12" 와는 좀 다르죠.
바로 세금과 4대 보험이 공제되기 때문이에요.
이번 글에서는 실수령액을 계산하는 법을 알려드릴게요.
엑셀이나 앱 없이도 누구나 쉽게 확인할 수 있도록 정리해드릴게요.


---

 


1. 실수령액이란?

실수령액은 ‘총지급액 - 공제액’으로 계산됩니다.
즉, 월급에서 세금과 4대 보험료를 뺀 실제 받는 금액이죠.


---

2. 실수령액 계산 공식

 

> 실수령액 = 총급여 - 공제항목(4대보험 + 세금)

 

 

<<실수령액 계산기>>

실수령액 계산기 바로가기

 

 


공제 항목에는 아래와 같은 것들이 포함돼요.

실수령액 계산시 공제항목



---

 

3. 실수령액 계산 예시

 

 

예: 월 총 급여 3,000,000원일 경우

실수령액 계산예시

 

※ 소득세는 간이세액표 기준으로 계산된 예시이며, 부양가족 수 등에 따라 달라질 수 있습니다.

 

 

예를 들어, 월 3,000,000원의 총 급여를 받는 근로자의 실수령액을 계산해보겠습니다.

 

 

 

1) 4대 보험료 계산:

 


국민연금:  3,000,000원 x 4.5% = 135,000원

건강보험:  3,000,000원 x 3.545% = 106,350원

장기요양보험:  3,000,000원 x 12.81% = 13,629원

고용보험:  3,000,000원 x 0.9% = 27,000원

총 4대 보험료:  135,000원 + 106,350원 + 13,629원 +27,000원 = 281,979원

 

4대 보험 계산기 바로가기

 

 

 



2) 과세표준 계산:

 

。과세표준 = 총급여 - (총 4대 보험료 + 근로소득공제)

。근로소득공제는 총급여에 따라 달라지며, 3,000,000원의 경우 약 260,000원입니다.

。따라서, 과세표준 = 3,000,000원 - (281,979원 + 260,000원) = 2,458,021원


 

3) 소득세 및 지방소득세 계산:

 

。과세표준 2,458,021원에 대한 소득세는 6%를 적용하여 약 147,481원입니다.

。지방소득세는 소득세의 10%로 약 14,748원입니다.


 

4) 실수령액 계산:

 

。실수령액 = 총급여 - (총 4대 보험료 + 소득세 + 지방소득세)

= 3,000,000원 - (281,979원 + 147,481원 + 14,748원)

= 2,555,792원


---

 

4. 실수령액 빠르게 확인하는 팁

 

1. 4대 보험 계산기 (국민건강보험공단 사이트)

2. 간이세액표 (국세청 제공)

국세청 간이세액표 보기


3. 급여명세서 확인
회사에서 제공하는 명세서를 확인하면 매달 공제내역이 상세히 나와 있어요.




---

 

5. 실수령액 줄어드는 이유는?

 

· 보너스나 상여금 포함 시 세금이 증가

· 건강보험료, 국민연금 인상

· 세액공제 혜택 미신청

· 비과세 수당 비중이 적을 경우



---

 

6. 실수령액 늘리는 방법

 

· 비과세 항목(식대, 자녀수당 등)을 적극 활용

· 부양가족 수를 정확히 신고 (소득세 줄일 수 있어요)

· 연말정산 꼼꼼히 챙기기 (환급 가능)



---

실수령액은 단순한 숫자가 아닌, 내가 실제로 쓸 수 있는 ‘생활 자금’이에요.
계산법을 알고 있으면 연봉 협상이나 이직 시에도 기준을 잡기 쉬워요.


---

도움 되셨다면 공감과 댓글, 구독 부탁드려요!
실생활에 필요한 유용한 정보들, 계속 공유드릴게요.